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김동원 고려대 총장 “수업 불참 의대생, 원칙대로 유급 처리”

신하영 기자I 2025.04.14 14:13:58

고려대 의대생 약 120명, 유급 통보할 듯
“다른 학생들과의 형평성…원칙 지켜야”
내년 의대모집 3058명 선제적 결정 건의
고1 치르는 대입 “정시서도 학생부 평가”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김동원 고려대학교 총장이 수업 불참 의대생에 대해 “학교가 원칙을 지켜야 한다”며 예정대로 유급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에 대해선 “이미 정부가 3058명으로 환원한다고 했기에 학생들이 복귀한 것”이라며 의료계의 요구대로 선제적 동결을 정부에 요구했다.

김동원 고려대 총장이 14일 서울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 SK미래관 최종현 홀에서 열린 개교 120주년 및 취임 2주년 총장 초청 기자간담회에서 의정갈등 관련 수업거부 의대생 유급에 대한 학교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동원 고려대 총장은 14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 SK미래관에서 취임 2주년 기념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수업을 거부 중인 의대생에 대해 “원칙을 지켜야 한다”며 “다른 학생들과의 형평성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손호성 고려대 의무기획처장도 “의대생 관련 업무는 의대학장에게 일임돼 있으며 학장단에서는 원칙을 갖고 처리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유급 처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려대 학칙은 3분의 1 이상을 출석하지 않을 경우 유급 처분을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 의대생 중 유급 대상에 해당하는 학생은 약 120명 정도로 알려져 있다. 고려대 의대 학장단은 이날 저녁 전체회의를 열고 이들에게 유급 예정 통보서를 발송할 예정이다.

김 총장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에 대해선 “이미 정부가 3058명으로 환원한다고 했기 때문에 학생들이 복귀한 것”이라고 했다. 교육부는 지난 7일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동결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의대생 복귀’는 의대 수업 정상화 여부로 판단하겠다고 밝혔으며 현재 발표 시점을 조율하고 있다.

김 총장은 이런 가운데 “의대생들이 (정부와의) 신뢰 관계에 대해 아쉬움을 느끼고 있다”며 “정부가 신뢰를 보여줄 수 있도록 조치해준다면 순탄하게 해결되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의료계의 주장대로 정부가 먼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동결한다면 향후 의·정 갈등 해소에도 도움될 것이란 의미로 해석된다.

향후 의대생 제적 시 편입학 계획에 대해서는 본과 3·4학년 편입은 어렵다고 일축했다. 손호성 의무기획처장은 “본과 3·4학년은 임상실습을 하기 때문에 편입은 물리적으로 어렵다”며 “예과 2학년 때까진 교양과목 위주로 듣기 때문에 편입생을 뽑는다면 본과 1학년 정도가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김 총장은 등록금 인상에 대해선 규제 완화를 요구했다. 그는 “지난 16년간 등록금이 동결되면서 대학들이 재정적으로 어렵다”며 “대학이 원천기술을 만들어야 국가경쟁력에도 도움이 되는데 연구개발 투자 여력이 없어 국가경쟁력도 하락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학 등록금은 고등교육법에 따라 최근 3개 연도 물가상승률의 1.5배 이내에서 인상이 가능하다. 다만 교육부가 물가 안정 등을 이유로 2009년부터 등록금 동결 정책을 펴면서 대학 재정난이 심화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2012년부터는 등록금을 조금이라도 올리는 대학에는 국가장학금 2유형 지원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인상을 규제하고 있다.

김 총장은 법정 상한선을 지키는 선에서 학생들이 참여하는 등록금심의위원회를 통해 인상 협상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고려대는 16년 만에 올해 학부 등록금을 전년 대비 5.0% 인상한 바 있다. 김 총장은 “현행법상 등록금 인상에 상한선이 있기에 이를 지키면서 학생들과 협의해 등록금을 올리게 될 것”이라고 했다.

현 고1 학생들이 응시할 2028학년도 대입에 대해선 ‘정시에서도 학생부 평가’ 방침을 제시했다. 현 고1 학생들부터는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 중이며 이들이 보게 될 수능은 공통과목 위주로 출제되는 ‘통합 수능’으로 전환된다.

정환 고려대 입학처장은 “2028학년도 대입부터는 통합 수능이 도입되고 내신 등급도 5등급제로 완화되기에 학생 변별 수단이 제한적”이라며 “정시에서도 학생부를 정성·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수시에서는 전공적합성·학업성취수준 등을 다양하게 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수능이 공통과목 위주로만 출제되기에 학생부를 통해 해당 학생의 교과·비교과영역을 평가하고 수시에선 교과목 이수 이력을 통해 전공적합성 등을 평가하겠다는 뜻이다.

고려대는 다음 달 5일 교내 중앙광장에서 개교 120주년 기념식을 갖는다. 김 총장은 “개교 120주년을 기해 고려대는 인류 난제 해결에 공헌하는 대학, 세계 30위권 대학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