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키오스크 도입이 최저임금 인상 탓이라는 고용정보원

서대웅 기자I 2025.04.11 13:50:51

무인 주문기기 증가 보고서
구인난·내수부진 구조적 요인 배제
"최저임금 동결하면 도입 안 하나"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세종=이데일리 서대웅 기자] 고용정책 싱크탱크를 자처하는 한국고용정보원이 음식점의 키오스크 도입 증가가 최저임금 인상 때문이라는 보고서를 내 비판이 일고 있다. 전문가들은 구인난, 내수 부진 등 구조적 요인은 배제한 채 단순히 최저임금 인상을 키오스크 증가 요인으로 꼽은 것은 섣부른 분석이라고 지적했다.

고용정보원이 지난 10일 발간한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2025년 봄호)’엔 ‘음식점의 키오스크는 아르바이트생을 대체할까?’ 제목의 보고서가 게재됐다. 보고서는 국내 음식점업의 대면 주문 비중이 2018년 89.0%에서 2023년 56.5%로 감소한 반면, 키오스크를 활용한 무인 주문 비중은 같은 기간 2.3%에서 24.2%로 늘어난 사실을 열거하며, 그 요인 중 하나로 최저임금 인상을 꼽았다. 특히 보고서는 “키오스크가 고용 감소를 유발했다는 결과는 음식점주가 키오스크를 도입한 요인으로 꼽은 인건비 절감과 일맥상통하는 결과”라며 “나아가 디지털 기기 활용이 급격히 증가한 배경인 최저임금 인상과도 연결된다”고 했다.

그러나 보고서를 보면 이같은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엔 최저임금이 단 한 차례도 언급되지 않았다. 키오스크를 도입한 음식점주 605명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에서 55.0%(333명)가 ‘인건비 절감’을 꼽은 게 전부였다. 점주들이 인건비 절감을 위해 키오스크를 도입한 것을 두고 최저임금 인상 탓에 키오스크 도입이 늘었다고 결론 낸 것이다.

이를 두고 구조적 요인은 배제한 채 지나친 확대 해석이란 지적이 나왔다. 최저임금을 동결했다면 키오스크 도입이 지금처럼 늘어나지 않았을 것이란 얘기냐는 비판이다.

정흥준 서울과학기술대 교수(경영학)는 11일 통화에서 “키오스크가 늘어난 것은 인력난 때문으로 봐야 한다”며 “지금과 같은 최저임금을 줘도 일할 사람이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실제로 이번 보고서 역시 “자영업자들은 구인난이 심각해 어쩔 수 없이 키오스크를 이용하고 있으며, 인력대체 효과를 기대하기보다 기존 직원들의 업무 강도를 낮추는 보조적 역할로 판단하고 있다”고 적기도 했다.

정세은 충남대 교수(경제학)는 “손님이 줄어 인건비라도 줄이자는 심정으로 키오스크를 도입하는 자영업자가 늘고 있다고 분석하는 것은 맞지만, 최저임금이 올라 키오스크가 증가했다는 분석은 틀렸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경기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감세 정책으로 지출이 줄어드니 내수가 돌지 않고, 소비자들의 소비 여력도 떨어져 가게를 찾는 수요(손님)가 줄어드는 등 구조적 요인을 간과한 결론”이라며 “최저임금 인상률이 물가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한 상황에서 지금의 최저임금을 줘도 일할 사람이 없는 게 문제”라고 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