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같은날 오후 2시 30분. 대전시 중구 부사동에 올해 새롭게 들어선 ‘한화생명 볼파크’ 야구장에서는 홈팀 한화 이글스와 원정팀 기아 타이거즈 간 2025 KBO리그(프로야구)가 펼쳐지고 있었다. 눈에 띄는 점은 맥주를 마시는 야구팬들은 일반 플라스틱 컵 대신 다회용컵으로 주문해 경기를 즐기고 있다.
정부는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플라스틱 감축을 위해 사용 감량, 폐플라스틱 재활용 촉진을 추진중이다. 이중 플라스틱 사용 감량을 위해 일회용컵 대신 다회용기 보급 지원사업 확대 및 대국민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88억8800만원을 투입에 5000여개 지방자치단체나 기관, 업소 등에서 다회용기 보급 지원사업을 추진한데 이어 올해는 100억900만원을 투입해 6500여곳에서 실시하고 있다. 특히 국민체감도를 제고하기 위해 일회용품 사용이 많은 지역축제, 야구장 등을 대상으로 다회용기 사용을 집중지원할 계획이다.
|
논산시는 올해 딸기축제에서 다회용기 보급 지원사업을 처음 도입했다. 다회용컵은 물론 국그릇, 반찬그릇, 수저 등 10여점의 다회용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통상 오전 10시부터 행사가 시작하지만 식당을 운영하는 업체는 아침 일찍부터 다회용기를 받아 식당에 배치하고 행사가 끝난 후인 오후 9시 이후에 다회용기 세척업체가 행사장을 돌며 다회용 수거함이나 식당에서 사용한 그릇을 회수한다고 했다.
이날 본지 기자가 행사장 내 식당에서 식사를 했을 때에도 큰 불편함이 없었다. 오히려 기존 일회용 용기보다 더 튼튼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식당 입장에선 일회용기가 처리하기 편하며 간편한 측면이 있으나 해당 지자체인 논산시가 일일이 식당 운영업자들과 만나 다회용기 사용 협조를 요청했다고 한다.
또 식당 근처에는 다회용기 수거함과 음식물 쓰레기함, 일반 쓰레기 및 재활용품 수거함을 한 곳에 설치해 다회용기가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다. 작년 이 축제에는 총 45만여명이 다녀간 만큼 올해에는 일회용 폐기물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정부와 지자체는 내다봤다.
논산시 관계자는 “다회용기 반납 효과를 높이기 위해 수거함 주변에 2명 이상의 인력을 배치해 용기 반납시 안내를 돕고 있다”며 “각 업소에서도 손님들에게 행사장 내에서 취식할 것인지, 집으로 가져갈 것인지를 먼저 물어본 후 다회용기나 일회용기로 구분해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
대전시에서도 올해 한화생명 볼파크 개장과 맞물려 다회용컵을 전격 도입했다. 이날 경기장 내 6곳의 맥주 판매대에서 다회용컵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 인근에는 다회용컵 수거함도 설치돼 있었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난해 정규시즌 8경기에서 맥주컵에 한해 다회용컵 사용 시범사업을 도입한데 이어 올해 본격 시행 중”이라며 “야구장을 찾는 시민들에게 다회용컵 사용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
다회용기 업체 관계자는 “현재는 맥주컵만 다회용기로 보급 중인데 시즌 내 떡볶이 그릇 등 다른 음식 그릇으로도 확대할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 협의 중”이라며 “평소 발생하는 일회용 폐기물량이 3분의 1로 줄어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다회용기 도입시 폐기물 배출량 37% 감축
환경부에 따르면 다회용기 보급 시범사업은 2021년 처음 시작됐다. 2021년 약 4000만원의 예산으로 지자체 한 곳에서 시범 운영한 후 이듬해에는 12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19개 지자체에서 실시했다. 2023년에는 30곳(68억원 투입)에서 2024년에는 69곳(89억원 투입)으로 다회용기 보급 사업을 실시하는 지자체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올해는 119곳으로 4년전 대비 72.5%나 증가했다. 사업비는 국고 50%, 지방비 50%로 마련했다.
지원대상은 공공기관, 장례식장, 영화관, 지역축제장, 스포츠경기장, 각종 행사장, 커피전문점, 배달음식점, 반찬가게 등이다. 지원내용은 다회용기 대여·회수·세척비 지원 또는 다회용기 구매비 등이다.
|
환경부는 앞으로도 다회용컵 도입을 각 사업장에 맞게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에버랜드 등 대형놀이공원에서도 일회용컵 대신 다회용컵을 보급하기로 한 것이다. 환경부와 에버랜드를 운영하는 삼성물산 리조트 부문, 경기 용인시는 ‘에버랜드 맞춤형 일회용컵 사용 감량을 위한 자발적 협약’을 지난 25일 체결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현장의 수용성, 지속가능성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편리함까지 모두 잡은 일회용컵 감량방안을 관계 기관과의 협력과 소통을 통해 마련했다”며 “이러한 성공적 본보기를 다른 놀이공원, 가맹점, 대학, 지역축제, 배달시스템 등 다양한 시설 및 업계와 소통하며 전국에 확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