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의 눈]주주 행동주의 시대에 대처하는 법

권소현 기자I 2024.11.18 07:11:00

갈수록 거세지는 주주권 행사
빈도도 늘고, 주주의 요구범위도 확대
"주식회사의 주인은 모든 주주" 인식 필요
지배구조 개선·주주가치 제고 늘 노력해야

[이데일리 권소현 마켓in 센터장] 2조5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결국 포기했지만 여파는 가시지 않고 있다. 고려아연 얘기다. 사실 영풍과 MBK파트너스가 공개매수에 돌입했을 때만 해도 여론은 이를 방어해야 하는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에 더 기울어져 있었다. 아연 제련업이 국가 기간산업인데다 최씨 일가가 오랜 기간 고려아연을 경영해오면서 글로벌 1위로 키워낸 저력은 인정해줘야 한다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양측의 치열했던 공개매수가 끝나자마자 바로 최 회장 측이 유상증자를 추진하면서 여론은 등을 돌렸고 주주들도 싸늘해졌다. 결국 금융당국이 나서서 제동을 걸었고 유상증자는 취소됐다.

최 회장 측도 유상증자가 미칠 파장을 모르진 않았겠지만,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다는 자문에 강행했을 것이다. 그만큼 최 회장 측이 절실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사실 고려아연의 경영권 분쟁은 2년 전부터 예고돼 있었다. 영풍과의 관계가 삐걱거리기 시작했는데 지분율은 영풍의 장씨 일가보다 최씨 일가가 낮았다. 사실 경영권을 방어하고자 했다면 그때부터 준비해야 했다.

준비는 단순히 지분율 확대만 말하는 것이 아니다. 본업과 관련이 아예 없는 펀드에 이사회 결의도 없이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는 식의 빌미를 주지 말았어야 했다. 또 주주 환원이나 주주들과의 소통에도 신경 썼어야 했다. 결국 싸움의 승패는 주총 표 대결로 판가름날 텐데, 공개매수에 응하지 않은 남은 주주들의 표심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이는 고려아연에만 해당하는 내용은 아니다. 찬바람 불면 주주제안을 담은 내용증명이 기업에 줄줄이 배송된다. 행동주의펀드와 소액주주들이 내년 3월 정기 주주총회를 겨냥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는 시기다. 주주제안의 빈도도 늘고 있지만, 범위도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행동주의펀드로 공격을 받은 국내 기업은 77곳이다. 2019년만 하더라도 8곳이었는데 그 사이에 10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은 물론이고 기업 지배구조 개선이나 자산매각·인수합병(M&A)을 통한 신사업 진출, 사업구조 재편까지 갈수록 주주들의 요구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슈퍼 개미가 참다 참다 기업 경영권 인수에 나서는 사례도 나온다.

재계에서는 이같은 움직임을 경영권 위협이라고 우려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자본시장이 선진화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기도 하다. 소액주주들은 갈수록 스마트해지고 있고, 파워도 커지는 모습이다. 이런 분위기는 더 거세질 수밖에 없다.

기업 입장에서 이런 주주 행동주의의 타깃을 피할 가장 완벽한 대비는 빌미를 주지 않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 지배구조를 탄탄하게 갖추고 자기자본이익률을 높이려는 노력과 함께 주가 저평가를 해소하기 위한 주주 환원, 주주가치 제고에 신경써야 한다. 주주와의 소통을 통해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

타이밍도 중요하다. 지난주 주말에는 장 마감 후 삼성전자가 10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에 나선다고 발표했다. 깜짝 발표긴 했지만, 일각에서는 너무 늦었다는 아쉬움도 나왔다. 올해 7월만 해도 10만전자를 바라봤던 삼성전자가 5만원 밑으로 떨어지면서 속앓이하는 소액주주들이 상당했기 때문이다.

주식회사의 주인은 주주다. 주식 1주를 갖고 있는 주주라도 주인이다. 기업의 다수 지분을 갖고 있는 오너든, 경영을 하고 있는 전문경영인이든 이 사실을 잊으면 안된다. 그게 싫다면 상장폐지를 통해 증시를 떠나는 게 낫다.

.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