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기자수첩]尹 전 대통령에게 맡겨진 마지막 과제

박종화 기자I 2025.04.07 05:30:00
[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했다. 윤 전 대통령은 임기 5년 중 3년도 채우지 못하고 자리에서 물러나게 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된 지 10년도 안 돼 또 다시 현직 대통령이 위헌·위법으로 퇴진하게 된 건 헌정사에 큰 불행이다.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해 12월 3일 이후 대한국민은 보지 말아야 할 일을 너무 많이 봤다. 군이 유리창을 깨고 국회에 진입하는 모습을 봤고, 폭도들이 법원에서 난동을 부리는 모습을 봤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도 헌정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이 체포된 모습을 보며 큰 상처를 받았을 테다.

파면되긴 했으나 한때 대한민국을 대표하던 사람으로서 윤 전 대통령에겐 여전히 이 상처들을 보듬을 책무가 있다.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로 대한민국의 분열이 깊어진 만큼 윤 전 대통령 스스로 이 사회를 화해시킬 수 있는 메시지를 내는 게 결자해지다. 그것이 전직 대통령이 된 윤 전 대통령에게 맡겨진 마지막 과제다.

그럼에도 윤 전 대통령의 시선은 여전히 지지자만을 향하고 있는 것 같다. 아직 자신의 어떤 행동이 대통령 파면이라는 헌정사의 불행을 만들었는지 반성하거나 사과하는 말을 하지 않고 있다. 자신을 응원한 지지자에게 치켜세우며 감사를 표할 뿐이다. 윤 전 대통령 측은 헌재 결정에 ‘사실상’ 승복했다고 한다. 그러나 ‘사실상’이란 말로 눙치고 넘어가기엔 계엄과 탄핵을 둘러싼 분열과 갈등으로 대한민국이 입은 상처가 너무 깊다.

헌법재판관들은 윤 전 대통령 파면을 결정하며 “국민 모두의 대통령으로서 자신을 지지하는 국민의 범위를 초월하여 국민 전체에 대하여 봉사함으로써 사회공동체를 통합시켜야 할 책무를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윤 전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이 결정문의 뜻을 곱씹고 국론 통합에 나서야 한다. 다가오는 대선에서 대한민국호(號)의 새 선장이 되길 꿈꾸는 대선주자들도 사회공동체 통합이라는 정치인의 소명을 가슴 깊이 새겨야 한다.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서울 한남동 관저 앞에서 차에서 내려 지지자들에게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