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경사노위에 따르면 권 위원장은 지난 3일 한국노동연구원 노사관계 최고지도자 과정 교육생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권 위원장은 “청년, 여성, 비정규직 등 계층별 위원회를 만들겠다”고 했다.
권 위원장이 밝힌 계획은 지난해 10월 노사정 대표자들이 결정한 사안을 구체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김동명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위원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해 10월 4일 경사노위에서 경사노위 운영 관련 안건을 상정해 ‘청년위원회 등 계층별 위원회 발족’을 의결했다. 이에 앞선 지난해 2월 6일엔 “청년, 취약계층 근로자, 여성, 중·소상공인 등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해 노동시장 공정성과 활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강구한다”고 합의했다.
권 위원장은 “산업전환, 플랫폼 노동 등 의제별 신규 회의체도 만들겠다”고 했다. 경사노위 산하엔 △지속가능한 일자리와 미래세대를 위한 특별위원회 △일·생활 균형 위원회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계속고용위원회 등 3개 위원회가 있다. 이중 미래세대 특위는 운영 기한(지난 2월 말)이 지났고, 일·생활 균형위와 계속고용위는 오는 6월 말까지 운영된다. 그간의 논의를 토대로 의제별 위원회를 새로 발족해 노동현안을 풀겠다는 게 권 위원장 구상이다.
계층별 위원회나 신규 의제별 위원회가 작동하기 위해선 한국노총이 사회적 대화에 복귀해야 한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을 결정한 만큼, 지난해 ‘12·3 계엄사태’ 직후 대화 불참을 선언한 한국노총은 대화장에 다시 들어올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권 위원장은 “미조직 근로자와 지역 현장을 중심으로 노사관계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했다. 또 “대외 위상에 걸맞은 국제 교류협력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권 위원장은 지난달 13일 칼-울로프 안데르손 주한스웨덴대사와 양국의 사회적 대타협 경험과 고령자 계속고용 사례 등 노동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등 한국의 사회적 대화 외향을 넓히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